본문 바로가기

사회 과학13

귀납의 문제 - 흄의 회의주의 인류는 과학의 발전과 더불어 삶의 질이 대폭 향상되었다. 이러한 과학은 경험으로부터의 일반화에 근거해서 지식을 만들고, 정당화한다. 즉 경험들을 바탕으로 일반화를 만들어내는 귀납적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귀납적인 방법은 과연 정당성이 있을까? 흄은 귀납의 문제에 대해 논의하였고, 이는 서양 철학 특히 과학 철학의 발전에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귀납의 문제 - 명제의 두 가지 유형 흄은 명제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하나는 관념들의 관계에 관한 명제이고, 다른 하나는 사실의 문제들에 관한 명제이다. 예를 들어, 관념들의 관계에 관한 명제는 "말은 동물이다", "사각형의 내각의 합은 360도이다"와 같이 어떠한 개념이나 관념들의 관계를 설명하는 명제를 말한다. 흄은 수학도 이러한 .. 2020. 10. 22.
시장 설계의 개요 한 학기 동안 시장 설계에 대해 배운다. 이에 복습하는 차원에서 내용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이번 글에서는 시장 설계의 개요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시장 설계(Market design)이란 경제학의 한 분야로 시장이 잘 동작하도록 분석하는 학문이다. 여기서 경제학(Economics)이란 다음과 같은 것들을 다루는 학문이다. 1. 국가의 자산(국부론 - 아담스미스) 2. 희소성: 자원이 넘쳐나면 우리는 고민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자원이 한정되어 있을 때에는 (그리고 보통 자원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선택의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희소한 자원에 대해 선택의 문제를 다룬다. 3. 의사 결정: 최적의 의사 결정 혹은 최적화를 다룬다. 4. 유인(Incentive): 어떻게 하면 행동을 유도할지 다룬다. 이.. 2020. 9. 18.
호스퍼스 - 지식이란 무엇인가_'안다'의 철학적 접근 - '안다'는 것의 3가지 형태 인간은 '지식'을 통해 다른 동물들과 구별된다. 인간은 사고와 경험을 통해 지식을 깊고 넓게 뻗어나간다. 그래서 현재 우리가 이렇게 발전된 문명을 이루며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가 '알게 된 것'을 '지식'이라고 한다. 그런데 우리는 무엇을 '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우리는 일상 생활에서 '안다'라는 용어를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한다. 우리는 "~ 할 줄 안다", " ~익히 안다", "~라는 것을 안다" 의 3가지 형태로 사용한다. 1. ~ 할 줄 안다 할 줄 안다는 것은 말 그대로 어떠한 일을 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 지를 의미한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할 줄 안다는 의미로 '안다'라는 표현을 자주 한다. 예를 들어서, "나는 수영을 할 줄 안다.".. 2020. 9. 15.
[거시경제6] 투자와 저축의 일치 - 재화 시장의 또다른 균형 지금까지는 생산과 재화에 대한 수요가 일치해야 재화시장에서 균형이 이루어진다고 이야기했다. 그러나 재화시장의 균형을 바라보는 또다른 관점이 있다. 바로 투자와 저축이다. 이 방법은 케인스가 1936년에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est and Money에서 언급한 방법이다. 정의에 의하면 소비자에 의한 저축(민간저축) S는 소비자의 가처분소득에서 소비를 뺀 값이다. $$S={Y}_{D}-C=Y-T-C$$ 그리고 정부에 의한 저축(정부저축)은 세금에서 정부지출을 뺀 T-G이다. 따라서 기존의 재화시장에서 봤던 균형식에서 살펴보면, $$Y=C+I+G\\Y-C-T=I+G-T\\={S}_{민간저축}=I-{S}_{정부저축}\\={S}_{민간저축+정부저축}=I$$ 와 같.. 2020. 5. 17.
[거시경제5] 균형산출의 조건 - 시장의 균형은 언제? 앞서 이야기 한 내용들을 정리하면 총 수요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우리는 하나의 재화에 대해서만 이야기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Z={c}_{0}+{c}_{1}(Y-T)+\bar{I}+G$$ 이제 재화시장에서 균형 조건을 생각해보자. 균형은 재화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할 때 나타난다. 물론 기업이 재고를 가지고 있으면 같을 필요는 없지만, 여기서는 재고는 고려하지 않도록 하자. 이러할 때에는 생산(공급)과 수요가 일치해야 한다. 그런데 우리는 생산이 소득과 항등적으로 일치함을 이해해야 한다. 재화의 생산으로 인해 결국 누군가의 소득으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앞서 이야기 했듯이 GDP는 생산 측면에서 볼 수도 있고, 소득 측면에서도 볼 수 있다. 그래서 생산과 소득은 항등적으로 일치한다. 따라서 .. 2020. 5. 17.
[거시경제4] 재화에 대한 수요 함수 - 기본 용어 정리 소비(C): 소비자가 구매하는 재화와 서비스를 말하는 용어이다. GDP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투자(I): 투자는 비주거용 투자와 주거용 투자로 나뉜다. 비주거용 투자는 기업이 새로운 기계나 공장을 구매하는 것을 말하고, 주거용 투자는 새로운 주택의 구입에 해당한다. 이러한 것들은 미래의 무엇인가를 얻기 위한 구입 결정임을 알 수 있다. 미래에 낳을 서비스에 의존하는 것이다. 주의할 것은 주식이나 금을 사는 것은 '금융투자'라고 불린다는 점이다. 혼동을 피해야 한다. (금융투자는 어느 범주에 들어갈까?) 정부지출(G): 중앙 및 지방 정부에 의한 재화와 용역의 구입을 의미한다. 정부가 구매하는 재화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것이며, 용역의 구입은 공무원들의 임금이 될 것이다. 의료.. 2020. 5. 17.
주식투자, 금융투자는 투자인가요? 소비인가요? 경제학에서 '투자'라고 함은 미래에 낳을 서비스에 의존하여 재화를 구입하는 것을 말합니다. 투자는 비주거용 투자와 주거용 투자로 나뉘어집니다. 즉 전자는 기업이 새로운 공장이나 기계를 구매하는 것을 말하며 후자는 개인이 미래의 주거 서비스를 얻기 위한 재화의 구매를 말합니다. 그렇다면 주식이나 금을 사는 것은 무엇이라고 부를까요?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이들도 '투자'라고 부릅니다. 미래의 더 큰 소득을 위해 주식을 구매하는 것으로 생각하므로 투자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투자는 '금융투자'로 불린다는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경제학자들은 금이나 주식 혹은 다른 금융자산의 구입을 나타내고자 할 대, '금융투자'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경제학자들이 말하는 '투자'는 실제로 존재하는 재화를 구매하는.. 2020. 5. 16.
[거시경제3] 거시경제에서 단기, 중기, 장기 시간 개념 거시경제학에서는 시간 개념을 확실하게 다루어야 한다. 크게 3가지로 나뉘는데, 단기, 중기, 장기로 나뉜다. 각 시점에 따라서 고려하는 요소와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1. 단기 2년 등과 같은 시간을 단기라고 한다. 단기에서는 공급에 있어서 어떠한 제약도 없다고 생각한다. 즉, 기업은 주어진 가격 아래에서 그 어떤 산출의 규모에서도 모두 공급하려 한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2. 중기 10년과 같은 중기에서는 기술의 수준, 노동력의 크기, 자본의 규모 등과 같은 공급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공급 요인을 고려하여 산출을 결정해야 한다. 그리고 10년에 해당하는 기간동안 이러한 요인의 변화는 매우 느리므로 이들은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3. 장기 장기는 20~30년이나 그 이상의 기간을 말.. 2020. 5. 16.
금융경제 Arbitrage란? Arbitrage 기초부터 심화까지! 1. Outline Arbitrage는 opportunity라고도 불리며, trading strategy를 통해 free profit을 낼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공짜가 있다면 모든 사람들이 원하게 될 것이고, 따라서 어떤 재화의 가격은 free profit이 없는 방향으로 가격이 조정될 것입니다. 그래서 arbitrage가 곧 특정 재화의 가격을 책정하는 기본 원리로 작용합니다. 같은 의미로 equilibrium이 되기 위해서(가격 평형)는 No arbitrage가 되어야 합니다. "There is no free lunch" - 공짜 점심은 세상에 없다는 의미입니다. 꼭 금융이나 물건의 가격에서 뿐만 아니라, 살아가면서 쉽게 무언가를 얻을 수 있는 일은 거의 없기도 합니다. 노력해야 그에 맞는 이득과.. 2020. 4. 29.
금융경제 Value process, Cash flow process, Gain process *논의의 편의를 위해 예시 등의 개념을 다룰 때 price process는 simplest case로 생각하자! 1. Value process Value process는 해당 t 시점에서 portfolio의 총 가치를 의미한다. 표현은 아래와 같이 한다.$${V}_{t}=\begin{Bmatrix}{V}_{t}(\theta):t=0,1\end{Bmatrix},\;\\ {V}_{t}(\theta)=S(t)\cdot{\theta}=\sum_{j=1}^{J} {\theta}_{j}(t).$$ j=0에서 value process는 j의 strategy를 시행하는데 필요한 비용이다. $${V}_{0}\; is\; the\; investment\; cost\;\\ for\; taking\; trading\; str.. 2020. 4. 29.